등록날짜 [ 2013-04-09 09:05:36 ]
조선노동당원이 되겠다는 일념으로 악착같이 살았지만
돌아오는 건 굶주림뿐… 결국 가족은 뿔뿔이 흩어지고
중국으로 간 부모는 온갖 고생 끝에 잡혀 북송되는데…
함경남도에서 3남 1녀 중 맏딸로 태어났다. 우리 가족은 식구가 많은 데다 할아버지는 6·25 전쟁 후유증으로 정신병을 앓으셨고, 할머니도 전쟁 때 치안대에게 맞은 후 눈을 못 보고 하반신도 못 쓰시다 내가 태어난 해에 돌아가셨다.
집안에 산재한 모든 짐이 맏며느리인 어머니에게 얹혀졌다. 나라에서 배급을 주지만 턱없이 모자랐다. 입 하나라도 덜려고 고모들이 서둘러 시집을 갔지만, 내 밑으로 동생들이 줄줄이 태어나는 바람에 집에는 늘 먹을 것이 부족하였다.
공산당원이 되기 위해 목숨을 걸다
나는 대학교를 졸업하고 사회생활을 했다. 그러다 1994년 7월 8일, 청천벽력과 같은 김일성 사망 소식을 들었다. 남한에 와서야 북한 사람들이 얼마나 김일성을 우상숭배 했는지 알게 됐지, 정말 그때는 하늘이 무너지는 줄 알았다.
자기 아버지가 죽은 것도 아닌데 모든 사람이 하나같이 울며불며 땅을 치고 가슴을 쥐어뜯으며 통곡했다. 사람들은 매일 조화를 들고 분향소를 찾아가 조의를 표하고 돌아갔는데, 나도 매일 저녁 일이 끝나면 들꽃을 꺾어 동료와 함께 십 리 길이 넘는 분향소에 다녀왔다. 그때는 그것이 최고로 충성스러운 표현이라고 생각했다.
농촌지원(북한에서 영농 시기에 농사일에 동원되는 것)이 끝나고 집에 와서도 나는 매일 김일성 동상에 올라가 청소도 하고 동상 주변에서 보초도 섰다. 누가 시켜서가 아니라 스스로 우러나서 한 것인데, 이런 충성심 덕분에 김일성청년동맹중앙위원회 표창까지 받았다.
지금 와서 생각하면 정말 어리석고 기가 찰 노릇이지만, 그때는 그 일을 최고로 기쁘게 감당했다. 당과 수령을 향한 충성심은 그 어느 때보다도 불탔다. 북한에서는 당시 나처럼 당에 자기 한 몸을 바치면 그 만큼 충성심이 높은 것으로 인정받고, 북한에서 최고 영예인 조선노동당원이 될 수 있다는 희망을 품고 사는 사람이 많았다.
당시 우리 집은 정말 살기가 어려웠다. 배급이 끊긴 지 오래인 데다 어머니가 남에게 돈을 빌려 장사하다 사기를 당해 완전히 망해 버렸다. 나를 시집보내겠다고 준비한 예단까지도 빚쟁이들이 다 가져가고 집도 더 작은 집으로 이사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가장 머리가 좋았던 막내는 대학도 포기했다. 그때까지 할아버지가 함께 살고 계셨는데 제대로 드시지도 못하다 병을 얻어 돌아가셨고, 한 식구가 줄었지만 먹을 걱정이 떠날 날이 없었다.
그런데 중국에 친척이 있는 사람은 그쪽 도움을 받으면 살아갈 길이 많다는 소문이 들려왔다. 우리 외가도 중국에 있어서 어머니와 막냇동생이 외가 식구를 찾아 떠났다. 남동생 둘은 군대와 직장에 나가 살았고, 결국 집에 남은 것은 아버지와 나 둘뿐이었다.
사실 그때 생각을 바꿔 살길을 찾아 장사라도 했으면 좋았을 것이었다. 나처럼 고지식하게 굶으면서도 기어이 공장에 나간 사람들은 현장에서 다 죽어 나갔다. ‘고난의 행군’ 시기에 제일 많이 굶어 죽은 동네가 바로 우리 고향이었다.
함경남도는 북한에서는 공업 도시라 할 만큼 공장도 많았지만, 나라가 어려워 공장들이 멈춰 서고 배급도 중단되자 공장 기계를 몰래 파는 일이 늘어갔다. 그런데 당원들은 자기 목숨보다도 당과 수령을 중요시했기에 굶어 죽어가면서도 멈춰선 공장을 지키려 애썼고, 나도 우리 아버지도 그 미련한 짓을 북한을 떠나기 전까지 계속했다.
노동 착취로 부모와도 이별
미련한 짓은 거기서 끝나지 않았다. 북한에서는 그 어려움 속에서도 여러 가지 건설을 많이 하였는데 거기에 앞장서는 사람들은 표창을 받고 조선노동당원 자리에도 올랐다. 일하던 공장에서도 어려운 일을 앞장서서 하는 당원돌격대를 조직하고, 몇천 명 중에서 열 명을 뽑았는데, 뽑힌 열 사람 중에서 여자는 나 혼자였다. 당시 그 기쁨은 이루 말할 수 없었다. 당원돌격대가 된다는 것은 정식 노동당원이 되는 첫걸음이기 때문이었다.
당원이라는 명예를 얻는다면 내 한 몸 부서져도 괜찮다는 결심이 섰다. 그러려면 집을 떠나 공사장에 살면서 일을 해야 했다. 아버지는 내 몸을 걱정하시고 공사장에 가지 말라고 말리셨지만, 내 의지를 꺾을 수는 없었다. 이렇게 내 명예만을 바라보다 아버지와 생이별을 했다.
나마저도 공사장으로 떠나고 홀로 되신 아버지는 더는 살아갈 희망이 없어서 중국으로 어머니를 찾으러 가셨다. 온갖 고생 끝에 아버지는 어머니를 만났지만. 중국에서 사는 삶도 마찬가지로 고통의 연속이었다고 한다. 매일 쉬지 않고 일을 하는 데다 그나마 돈은 제때 받지도 못했다고 한다. 겨우 죽지 않을 만큼 먹고, 아침 일찍부터 일을 하고 밤에 겨우 잠을 청할 수 있었다.
어머니는 탈북 후 자식을 버리고 갔다는 죄책감에 짓눌려 매일 눈물로 지내셨다. 아버지도 고달픈 인생을 한탄하며 술로 세월을 보냈는데 돈을 조금 벌어 다시 북한으로 갈 생각이었지만 중국인 사장들이 일한 품삯을 주지 않아 그마저도 여의치 않았다.
그러다 막냇동생이 먼저 남한으로 떠나고 소식이 끊겼다. 어머니는 북한에 두고 온 아들, 딸 생각과 감감무소식인 막내아들 걱정에 심장병이 더 악화하여 하루도 병원에 안 가는 날이 없었다고 한다. 설상가상으로 사람들이 신고를 해서 공안에 잡혔는데, 잡혀가는 도중에 정신을 잃고 쓰러져서 아버지만 북송되었다. 그 바람에 아버지를 잠깐 만날 수 있었다. 아버지의 모습은 그야말로 초췌함과 인생의 고달픔이 극에 달해 있었다.
북송 후 고모 집에서 만난 아버지는 고모 몰래 손에 무엇인가를 쥐여 주시고는 다시 어머니를 찾아가신다며 떠나셨다. 그것은 꼬깃꼬깃 접은 중국 돈이었다. 훗날 아버지께 들은 이야기로는 중국에서 북한으로 넘어올 때 돈을 모두 빼앗기기에 돈을 빼앗기지 않으려고 삼켰고, 변을 보러 가서는 변 속에서 그 돈을 찾아 몰래 씻어서 다시 삼키기를 집결소에서 나오기까지 계속하셨다고 한다. 비록 한 장의 돈이지만 이 얼마나 피눈물이 가득 담긴 돈인가. 아버지는 그 돈을 나에게 주었다. 그때 당시 내게도 그 돈은 정말 큰돈이었다.
아버지가 주신 돈을 주머니 깊숙이 간직하고 합숙소까지 왔다. 눈앞에 계속 아버지의 얼굴이 떠오르고 이제 헤어지면 언제 다시 만나려나 하는 생각을 하니 하염없이 눈물이 흘러 잠을 제대로 이룰 수가 없었다. <계속>
시(詩)
아이의 꿈
꿈속에서
아이는 무엇을 보았기에
간밤에 밖으로 달려나갔을까
꿈속에서
아이는 무엇을 보았기에
총을 쏘는 군대도 무서워 안 했을까
꿈속에서
아이는 무엇을 보았기에
손에 그걸 꼭 쥐고 죽었을까
그 꿈은
죽으면서도 놓지 않은 그 꿈은
작은 옥수수 하나
(농민이 한 해 동안 피땀 흘려 농사하고 나면 가을에는 군인들이 무장하고 농장을 지키곤 했다.
김정일은 농작물을 훔치는 자는 반(反)혁명분자와 같다며 무조건 현장에서 사살하라고 지시하였다.)
/장진성 탈북시인
『내 딸을 백 원에 팝니다』
(장진성 著, 조갑제닷컴)에서
위 글은 교회신문 <332호>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