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전 목사와 함께하는‘성서의 땅을 가다’(235·下)] 바벨론 포로들 돌아온‘라맛 미스베’

등록날짜 [ 2022-07-03 20:28:45 ]

갓 지파의 성읍 ‘라맛 미스베(Ramath Mizpah)’는 여리고(Jericho)와 랍바(Rabbah) 사이에 있다. ‘전망대’라는 뜻의 라맛 미스베는 메소포타미아 지역과 예루살렘을 이어 주던 골짜기 길인 ‘와디 에 시르(Wadi as-Seer)’ 서쪽의 높은 언덕에 자리 잡고 있다. 이곳에는 인공동굴 유적지가 남아 있는데 느헤미야의 성벽 재건을 방해하던 도비야(Tobiah)의 이름이 동굴 외벽에 새겨져 있다.


라맛 미스베의 대표 유적은 바로 노예의 성이다. B.C. 2세기경에 세워진 이 성은 지진으로 파괴되었다가 현재의 형태로 복원되었다. 역사학자 요세푸스의 글에도 기록된 노예의 성은 헬레니즘 시대의 시리아 신전 형태로 유일하게 남아 있다.


<사진설명> 라맛 미스베 전경. 요르단에 있는 ‘이라크 알 아미르’라는 유적지를 라맛 미스베라고 추정한다. 라맛 미스베가 있는 골짜기 ‘와디 에 시르’는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이스라엘로 오던 통로 중 하나였기에 바벨론 포로이던 이스라엘 민족이 이곳을 지나갔으리라 추정한다.


<사진설명> 라맛 미스베에 있는 ‘카스르 알 압드’라는 노예의 성.



<사진설명> 라맛 미스베 주변 지도. 갓 지파의 성읍 ‘라맛 미스베’는 여리고와 랍바 사이에 있다. 랍바라고도 하는 지금의 암만에서 서쪽으로 17km 떨어져 있다.


<사진설명> 라맛 미스베가 있는 ‘와디 에 시르’ 골짜기에는 인공동굴 유적지가 남아 있고, 느헤미야의 성벽 재건을 방해하던 도비야의 이름이 동굴 외벽에 새겨져 있다.


윤석전 목사: 갓 지파의 땅 라맛 미스베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주세요.


홍순화 교수: 라맛 미스베는 요르단에 있습니다. 현지인들에게는 잘 알려진 ‘이라크 알 아미르(Iraq al Amir)’라는 유적지를 라맛 미스베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랍바라고도 하는 지금의 암만(Amman)에서 서쪽으로 17km 떨어져 있고, 요단강에서 동쪽으로 22km 정도 떨어진 해발 470m 정도의 골짜기에 있습니다. 미스베는 전망대를 뜻하는데, 그 이름에 걸맞게 주위를 잘 살필 수 있는 높은 언덕에 있습니다.


라맛 미스베가 있는 골짜기 이름이 ‘와디 에 시르’인데 성경 시대에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이스라엘로 오던 통로 중 하나였기 때문에 이스라엘 민족이 여기를 지나갔다고 볼 수 있습니다. ‘와디 에 시르’에는 고대 사람들이 살던 동굴이 여러 개 있는데, 동굴 입구에 도비야라고 하는 성경 속 인물의 이름이 적혀 있습니다. 특별히 그 지역에는 주전 2세기 때 노예의 성이던 ‘카스르 알 압드(Qasr al-Abd)’라는 유명한 신전도 있습니다. 


윤석전 목사: 이스라엘 백성이 라맛 비스베가 있는 ‘와디 에 시르’를 지나갔다고 하셨는데 바벨론 포로에서 귀환할 때 일인 듯합니다. 이스라엘 백성이 돌아온 행로를 설명해 주세요.


홍순화 교수: 이스라엘 민족이 끌려간 바벨론 지역은 지금의 이라크입니다. 바벨론과 다메섹 사이는 전부 사막 지역이므로 고대 사람들은 사막을 경유해 유프라테스강을 따라서 시리아의 알레포(Aleppo)까지 북쪽으로 올라갔다가 남쪽의 다메섹을 거쳐 이스라엘로 귀국했습니다.


그와 달리 에스라 같은 사람들은 빨리 귀국하기 위해 유프라테스강 가에서 다드몰(Tadmor)이라고 하는 사막지대를 통과하는 두 번째 길을 택했습니다. 사막을 관통해야 하므로 물도 없고 여러 가지 위험이 도사리는 경로입니다. 바벨론에서 돌아온 이스라엘 민족이 사막 길로는 도저히 올 수 없었을 것이므로 북쪽 길을 거쳐 귀국했으리라 보는 것이 정설입니다.


<사진설명> 이스라엘 민족이 귀국한 경로. (초록색)이스라엘 민족은 바벨론과 다메섹 사이의 사막을 경유해 유프라테스강을 따라서 시리아의 알레포까지 북쪽으로 올라갔다가 남쪽의 다메섹을 거쳐 이스라엘로 귀국했다. (분홍색)에스라 같은 사람들은 다드몰이라고 하는 사막지대를 통과하는 빠른 길을 택했다.



윤석전 목사: 바사에서 예루살렘으로 돌아온 느헤미야의 활동과 그 이유가 무엇인지도 설명해 주세요.


천사무엘 교수: 바사(페르시아)는 바벨론을 복속한 후 유대인 포로들을 귀환시키고 예루살렘 성전을 재건케 합니다. 느헤미야는 바사 왕의 술 맡은 관원이었습니다. 술 맡은 관원은 당시 왕이 신임하던 대단히 높은 지위의 인물이었습니다. 하루는 느헤미야의 동족인 유다 사람이 예루살렘 성벽이 허물어지고 성문이 다 불탔으며 그곳에 있는 사람들이 비참하게 살아가고 있다는 소식을 전해 주었습니다. 동족이 어려움에 처했다는 소식을 듣고 느헤미야는 바사 왕에게 유다 땅으로 돌아가서 그곳에 성벽을 다시 쌓겠다고 간청합니다(느2:5). 이에 왕은 느헤미야에게 예루살렘에 가도록 허락했고, 성벽을 건설할 물자도 지원해 주었습니다.


윤석전 목사: 이스라엘 민족이 바벨론 포로지에서 예루살렘으로 귀환하게 된 과정에 대해서도 말씀해 주세요.


천사무엘 교수:  바벨론이 예루살렘을 멸망시킨 후 많은 사람이 포로로 잡혀갔고, 이후 바사가 바벨론을 멸망시켰습니다. 바사는 소수 민족이라든지 바벨론에 포로로 잡혀 온 민족들을 본국으로 돌려보내 고향 땅에서 살게 하는 정책을 펼쳤습니다. 유다 민족도 고레스 칙령에 의해 예루살렘으로 돌아가게 되었고, 예루살렘 성전을 중심으로 민족을 재건하게 됩니다.


윤석전 목사: 당시 바사 사람들은 조로아스터교를 믿었습니다. 조로아스터교의 교리는 선한 생각, 선한 말, 선한 행동인데, 그런 교리에 따라 어떤 종교든지 자유를 보장하고 포로로 붙잡혀 온 이들도 인정해 준 것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볼 때 바사 왕 고레스는 하나님께서 세우신 왕이었고 하나님의 섭리 가운데 이스라엘 민족이 귀환하게 되었습니다. 예루살렘으로 귀환한 이스라엘 백성이 성전 건축을 하려고 했으나 반대한 사람이 있었다고요.


천사무엘 교수: 예루살렘 성전 건축을 반대한 도비야는 암몬 사람입니다. 암몬 지역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한 사람으로 암몬 지역의 총독이었으리라고 추정합니다. 도비야는 대제사장이라든지 제사장들의 자녀와 자기 자녀를 결혼시켜 동맹을 맺었고, 이를 배경 삼아 유다 지역에 대한 세력권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느헤미야가 성벽을 재건한 후 잠시 바사에 다녀와서 보니까 도비야가 성전의 방 하나를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큰 권력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또 도비야 가문은 후대에 가서도 대제사장 권까지 손아귀에 넣으려고 싸울 만큼 큰 힘을 얻었습니다. 도비야 가문은 큰 영향력을 행사하던 요단강 동편 지역의 세력이었고, 그 탓에 느헤미야와 충돌했습니다.


윤석전 목사: 라맛 미스베는 이스라엘 백성이 바사에서 돌아오는 통로였습니다. 이스라엘 백성은 바사에서 식민지 종살이를 했지만, 하나님의 은혜로 말미암은 고레스왕의 선처를 통해 예루살렘으로 돌아와 성전을 재건했습니다. 하나님께서 이방인의 왕이라도 감동시켜서 하나님의 뜻을 이루게 만드는 분임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우리에게 어떤 불가능이 있을지라도 하나님의 뜻이라면 절대적으로 이루어집니다. 하나님은 그렇게 만드실 것입니다. 기대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위 글은 교회신문 <755호> 기사입니다.

    아이디 로그인

    아이디 회원가입을 하시겠습니까?
    회원가입 바로가기

    아이디/비번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