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청년회 성탄감사 전도행진
성탄의 참 주인공은 예수님이십니다!”
등록날짜 [ 2021-08-17 14:17:11 ]
차원 속에서 살아가는 인간에게
하나님의 이적은 놀라워 보이나
차원 창조하고 차원을 초월하신
하나님에게는 무척 쉬운 일일 것
이적(異蹟)은 과학법칙이나 정상적인 과정에 위배되는 초자연적 사건을 말한다. 6일 창조(창1장), 오병이어(요6:1~15), 죽은 나사로가 살아나고(요11:1~46), 물이 포도주로 변하는(요2:1~11) 이적들은 과학적으로 증명할 수 없는 엄청난 사건들이다. 이적은 초자연적 사건이기에 과학으로 증명할 수 없지만, 논리는 설명할 수 있다.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차원을 이용하면 창조주 하나님과 이적을 동시에 설명하고 이해할 수 있다.
점을 ‘0차원’이라 하고, 점이 모여서 된 선을 ‘1차원’, 선들이 모여서 된 면을 ‘2차원’, 면으로 구성된 공간을 ‘3차원’, 공간에 시간이라는 차원 요소를 더하면 ‘4차원’이 된다. 4차원에 또 다른 차원 요소를 합하면 ‘5차원’이 될 수 있다.
차원은 확장이 가능하다. 그러나 우주가 몇 차원인지 아무도 모른다. 분명한 사실은 적어도 4차원 이상이라는 것이다. 인간은 4차원 세계 속에 살고 있지만, 3차원적 제한된 능력만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인간은 현재 순간적으로 일어나는 일들만을 정확히 알 수 있을 뿐, 과거의 일들이나 미래에 일어날 일들은 알 수 없다. 우리가 과거를 알 수 있는 것은 우리의 기억과 역사 기록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차원을 초월한 하나님의 이적
차원이 낮을수록 하등하고 제한된 능력을 가진다. 1차원적 동물은 직선 운동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렁이, 구더기, 뱀 등은 앞으로만 갈 수 있다. 이런 직선 행동을 하는 동물을 1차원 동물이라 한다. 1차원 동물들은 1차원적 능력밖에 없기에 2차원 이상의 세계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이해하지 못한다. 2차원적인 동물은 직선 운동뿐만 아니라 전후좌우 방향감각이 있지만, 3차원적 능력이 없기 때문에 공간을 이용할 수 없고, 3차원 이상의 세계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이해하지 못한다.
반면에 3차원 동물은 방향감각과 입체적 공간개념을 갖는 동물로 정의할 수 있다. 3차원 동물들은 1차원과 2차원 동물들이 상상할 수 없는 다양한 능력을 갖고 있다. 하지만 3차원적 유한한 능력만을 갖고 있기에 4차원 이상의 일은 할 수 없다. 따라서 과거나 미래로 여행할 수 없다.
커다란 웅덩이(3차원)에 거북이와 사람이 빠졌을 경우를 생각해 보자. 거북이는 탈출하기 위해 엄청나게 노력하지만, 웅덩이 안을 왔다 갔다 하는 행동을 반복할 뿐이다. 2차원 능력을 가진 거북이는 공간개념이 없기에 설령 누군가가 구원의 밧줄을 넣어 준다 하더라도 그것을 이용할 수 없다. 그러나 3차원적 능력을 가진 사람은 구원의 밧줄을 이용하여 웅덩이를 쉽게 탈출할 수 있다. 탈출한 사람이 먹을 것을 가져와 웅덩이에 빠진 거북이에게 갖다 주고 구해 준다면, 거북이에게는 상상할 수 없는 이적이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거북이에게는 이적이지만, 3차원적 능력을 가진 사람에게는 너무나 쉬운 일이다.
이적에는 특징이 있다. 이적은 우주에 적용되는 과학법칙이나 통일성을 깨뜨리지 않는다는 점이다. 거북이의 2차원적 지식과 능력으로는 상상할 수도 없는 이적이 일어났지만, 3차원 세계에 적용되는 과학법칙이나 질서가 무너진 것은 아니다. 이적이 일어날 때마다 자연법칙이 흔들리고 우주의 통일성이 깨진다면, 지금의 우주는 존재할 수 없다.
인간은 4차원 세계에 살고 있지만, 3차원적 유한한 능력밖에 없다. 하나님의 능력은 4차원 이상의 것이다. 왜냐하면 하나님은 차원을 창조하셨을 뿐만 아니라, 우주 안에 가능한 모든 차원을 초월하신 분이기 때문이다. 창조주 하나님이 성경에 기록된 이적들을 일으키는 것은 너무나 쉬운 일이다. 단지 3차원적인 유한한 능력밖에 없는 인간이 창조주 하나님의 존재와 행하신 일들을 깨닫지 못하며 부인할 뿐이다.
<사진설명> 모세의 기도를 들으시고 홍해를 갈라 이스라엘 민족을 무사히 건너게 하신 하나님의 이적.
/한윤봉 교수
전북대학교, 세계 100대 과학자
한국창조과학회 7대 회장
위 글은 교회신문 <712호>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