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청년회 성탄감사 전도행진
성탄의 참 주인공은 예수님이십니다!”
등록날짜 [ 2021-06-25 14:30:27 ]
60년 만에 한국인 딸을 찾은
터키 노병의 실화를 영화로
6·25 참전국 희생 기억하며
자유민주주의 위해 기도해야
<사진설명> (좌) 6·25전쟁 당시의 슐레이만과 한국 고아 아일라.
(우) 지난 2010년, 60년이 흐른 뒤 다시 만난 슐레이만 부부와 김은자 씨(아일라).
2018년에 개봉한 영화 <아일라>는 유엔군으로 한국에 파병되어 6·25전쟁에 참전한 터키 병사와 다섯 살 고아의 세상에서 가장 아름답고 애틋한 사랑을 담은 감동 실화 작품이다.
6·25전쟁이 한창이던 1950년 11월 평안남도 군우리 전투. 전쟁에 파병된 터키 군인 슐레이만 소위는 중공군에 밀려 후퇴하던 중 수많은 사망자 속에서 엄마를 잃고 혼자 살아 있던 다섯 살 한국 소녀를 우연히 발견해 자신의 부대로 데려온다.
그는 둥근 얼굴의 소녀에게 두 사람이 만났던 그날 유난히 밝았던 달을 떠올리며 터키어로 ‘달’이라는 뜻의 ‘아일라’라는 이름을 붙여 주었다. 전쟁에 대한 공포와 엄마를 잃은 슬픔으로 실어 증세가 와서 이름조차 말하지 못하던 아일라는 슐레이만을 아빠처럼 따르면서 안정을 되찾아 간다.
슐레이만은 터키 부대로 데려온 아일라를 사랑으로 먹이고 입히면서 아버지처럼 돌봐 주었고 아일라도 그를 “바바(터키어로 아빠)”라고 부르는 등 아버지처럼 따르며 2년 가까이 깊은 부녀의 정을 쌓았다. 아일라는 터키 군대 막사에 머무르며 슐레이만을 비롯한 터키 군인들의 보살핌 속에 터키어도 익혀 통역 역할을 하면서 군인들의 귀여움을 독차지했다.
하지만 1952년 본국으로 귀국 명령을 받은 슐레이만은 아일라를 홀로 남겨 둘 수 없어 큰 나무 궤짝에 숨겨 터키로 몰래 데려가려고 했으나 결국 발각되어 홀로 터키로 떠났고, 아일라는 터키군이 지은 ‘앙카라 학원’이라는 보육시설에 남겨진다. 이 특별한 관계의 부녀는 60년이라는 기나긴 세월 동안 운명의 갈림길 속에 가슴 아픈 생이별을 겪게 된다.
이후 아일라는 ‘김은자’라는 한국 이름으로 살아가게 되었고, 슐레이만도 터키에서 다시 일상을 살아간다. 두 사람은 서로를 찾기 위해 정부와 관련 기관에 수소문도 하면서 노력하지만 오랜 시간 동안 소식조차 알지 못하고 지낸다.
그러다 지난 2010년 춘천MBC 다큐멘터리팀의 도움을 받아 무려 60년 만에 재회하게 된다. 6·25전쟁 60년을 기념해 한국 정부가 터키 참전용사를 대대적으로 초청했는데 이를 계기 삼아 60대 할머니가 된 김은자 씨가 85세 터키 아버지를 수십 년 만에 만나게 된 것. 이후 슐레이만이 2017년 12월 운명하기 전 한국인 딸 아일라는 터키 아버지의 임종을 끝까지 지켰다.
수많은 피를 흘려 지킨 자유민주주의
영화보다 더 영화 같은 두 사람의 이야기는 MBC 다큐멘터리 ‘코레 아일라(Kore Ayla)’를 통해 방영돼 세상에 알려졌고 큰 감동을 전해 주었다. 다큐멘터리 ‘코레 아일라’는 주인공인 김은자 씨가 터키 아버지 슐레이만을 만나기까지 과정을 소개하면서, 터키 사람들이 수십 년이 흐른 오늘날까지 6·25전쟁과 대한민국을 여전히 기억하고 있음도 알리고 있다. 다음은 다큐멘터리에서 소개된 내용이다.
터키에서 가장 큰 도시 이스탄불 시내에는 ‘코렐리(Koreli)’라는 상점이 있다. 코렐리는 터키어로 ‘한국인’ 또는 ‘6·25전쟁에 참전했던 군인’을 뜻한다. 그만큼 터키인들은 한국인을 형제(카르데쉬) 또는 ‘피를 나눈 형제(칸 카르데쉬)’라고 여긴다.
6·25전쟁 당시 터키는 미국과 영국 다음으로 많은 군인 1만 5000명을 파견했고 전사자는 미국 다음으로 많은 724명에 이른다. 터키 군인들은 참전 15국 중 매우 용맹했고 정도 많아 전쟁 중에 한국의 전쟁고아들을 보살피기 위한 ‘앙카라 학원’ 같은 보육시설도 세웠다.
터키에서는 6·25전쟁에 참여한 참전 용사를 ‘코레 가지’라고도 부른다. 코레 가지들은 한국을 사랑한다. 전쟁 이후 발전된 한국을 자기 조국이 발전한 것만큼 기뻐하고 한국을 ‘바탄(조국)’이라고 부르는 것도 주저하지 않는다.
수많은 젊은이의 피를 흘려 지킨 대한민국과 자유민주주의를 떠올릴 때마다 6·25 참전국들의 도움과 희생을 잊을 수 없다. 오늘날을 사는 성도 누구나 피 흘려 얻은 자유민주주의의 가치를 수호하고자 대한민국과 한국교회를 위해 더 기도해야 할 사명이 있다.
위 글은 교회신문 <704호>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