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용어 알파와 오메가·83] 은혜에 빚진 자 ὀφείλημα(오페일레마)

등록날짜 [ 2021-04-29 07:47:58 ]

신앙생활을 오래 하다 보면 ‘돌아온 탕자’(눅15:11~32)에 대한 설교를 수차례 듣게 된다. 아이러니하게도 오래 묵은 성도일수록 ‘보상심리’가 몸에 젖은 첫째 아들에 해당할 때가 많다. “내가 여러해 아버지를 섬겨 명을 어김이 없거늘 내게는 염소 새끼라도 주어 나와 내 벗으로 즐기게 하신 일이 없더니”(눅15:29)라고 화내던 첫째 아들 말이다. 이것이 불행의 시작이다.


직장에서 회식을 하다 보면 이런 분들이 꼭 계신다. 부도날 것을 몇 번이나 구해낸 분들, 오늘날 회사가 이렇게 번영하게 된 숨은 1등 공신들, 회사를 구하고 교회를 구하고 나라를 구하고 우주를 구한 분들의 이야기를 주변에서 많이 듣곤 하는데, 그런 말을 하는 사람이 내가 아닐까 경계해야 한다. 왜냐면 적어도 교회 안에서라면 그런 분들에게 은혜가 없기 때문이다.


“일하는 자에게는 그 삯을 은혜로 여기지 아니하고 빚으로 여기거니와 일을 아니할찌라도 경건치 아니한 자를 의롭다 하시는 이를 믿는 자에게는 그의 믿음을 의로 여기시나니”(롬4:4~5).


일을 하고 안 하고는 의로움의 조건이 아니라는 것이 말씀의 초점이다. 여기서 ‘빚’(ὀφείλημα, 오페일레마)은 ‘원래 소유했던 것(owed)’이란 의미다. 친절을 계속 베풀었더니 마치 권리인 듯 뻔뻔하게 요구할 때 “맡겨 놨니?”라고 반문하는 것처럼, 내가 죽을 운명이었던 것을 모르는 자는 오히려 살려 준 이에게 보따리를 내놓으라고 한다. 그러므로 은혜의 반대말은 ‘행함’이 아니라 ‘공로’, ‘삯’, ‘보상’이다. 은혜받고 믿음이 생기면 행함은 저절로 따라온다는 것을 성도라면 누구나 경험하는 바요, 야고보서에서도 말하고 있다.


과거의 ‘공로’에 얽매이게 하는 세상의 사고방식은 은혜의 통로를 철저히 깨부순다. 운동경기에서 괄목한 성적을 내던 선수들이라 할지라도 나이가 들어 부상의 후유증으로 고통받거나 단명하는 안타까운 사례를 다수 본다. 즉, 과거에 내가 건강했던 것도 감사하지만, 오늘 내가 건강해야 하고 내일 아침 건강하게 깨지 않으면 건강한 것이 아니듯 광야의 만나의 가르침이 이것이고 은혜로 사는 법칙이 이것이다.


이를 아는 예레미야나 다윗은 “여호와의 자비와 긍휼이 무궁하시므로 우리가 진멸되지 아니함이니이다 이것이 아침마다 새로우니 주의 성실이 크도소이다”(애3:22~23)라고 무수히 고백한다. 사도 바울은 나의 나 된 것이 오직 은혜임을 알아서 ‘지극히 낮은 자’라는 고백을 그저 미사여구로 표현하지 않았기에 끝까지 새로운 은혜를 받을 수 있었다.


우리 속담에 ‘골골 팔십 세’란 말처럼 의외로 연약한 자가 장수하고, 공로에 얽매이거나 옛날 힘자랑해 봐야 소용없을 때가 많다. 교회의 중직이어도 오늘 받는 은혜가 없다면 마른 가지다. 교회는 찬양할 새 노래가 있어야 하고, 성도의 교제와 하나님께 받는 은혜가 만나처럼 날마다 내게 있어야 한다. “얘 너는 항상 나와 함께 있으니 내 것이 다 네것이로되”(눅15:31)라고 말씀하신 은혜가 얼마나 큰 것인데 왜 “나는 아침에 왔는데 나중에 온 사람과 똑같은 삯을 받습니까”라고 따지는 사람이 되려는가. 하나님의 모든 것과 하루 품삯이 비교조차 되는가.




위 글은 교회신문 <696호> 기사입니다.


    아이디 로그인

    아이디 회원가입을 하시겠습니까?
    회원가입 바로가기

    아이디/비번 찾기

    소셜 로그인

    연세광장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