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론과 훌] 교육감 선거, 다음 세대 위한 선택

등록날짜 [ 2022-06-05 14:55:35 ]

지혜의 책, 전도서 3장에는 모든 일에는 때가 있나니 일마다 알맞은 때가 있어서 태어날 때가 있고, 죽을 때가 있고, 심을 때가 있고, 세울 때가 있고, 울 때가 있고, 삼갈 때도 있어서 이 같은 수고는 사람의 숙명이라고 전한다. 분명 “눈물을 흘리며 씨를 뿌리는 자는 기쁨으로 거두는 것”(시126:5)이며, “사람이 무엇으로 심든지 그대로 거두는 것”(갈6:7)이니 사람이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서 무엇을 얻으려 드는 것은 하나님을 조롱하는 것이라고 성경은 말씀하신다.


두뇌세포가 계속해서 성장하는 20대까지는 공부해야 할 때요, 심을 때요, 모을 때요, 이를 위해 청년의 정욕을 피하고(딤후2:22) 삼갈 때이다. 30대가 되면 이미 기억력 감퇴가 시작되고, 40대부터는 늘 부르던 노래 가사도 잘 안 외워짐을 경험하는지라 어른들은 “공부는 때를 놓치면 후회하니 지금의 30분이 너의 미래를 바꾼다”, “알코올, 타르, 니코틴, 다량의 카페인이나 유해물질로 세포를 파괴하는 짓거리는 치명적”이라고 충고한다. 하지만 대부분은 후회하고 나서야 깨닫는다.


문제는 과거에는 국가 전체가 엄격한 기준을 바탕으로 학생들에게 이 원리를 소신 있게 지키게 하려는 규율(discipline)이 존재했지만 지금은 사라졌다는 것이다. 규율 혹은 원칙에 해당하는 영어 단어 ‘discipline(디서플린)’은 동사로 ‘훈련하다’, 심지어 매로 때려서라도 가르친다는 ‘훈육하다’라는 의미를 담고 있어서 요즘 세상에서는 큰일 날 소리이다. 그러나 성경에 등장하는 ‘제자’라는 단어 ‘disciple(디사이플)’도 이 ‘discipline(디서플린)’에서 나왔다. 


요즘 시대에 엄격하게 훈육해야 한다는 말을 하면 시대착오적인 ‘꼰대’로 마녀사냥을 당하기 때문에 대부분 침묵하는 세상이지만 기성세대들에게 가슴에 손을 얹고 각자의 양심에 묻고 싶다.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우리 아이들에게 “꼭 용이 되어 구름 위로 날아오르지 않더라도 개천에서 가재, 붕어, 개구리로 살아도 괜찮다”라고 말하고, 또 “특목고를 없애는 교육감의 자제분은 엘리트교육을 받고 미국의 명문대학을 나왔지 않느냐”라고 물으니 “원래 양반제도는 양반이 없애야 더 설득력이 있는 것”이라는 궤변을 내놓으면서까지 가뜩이나 욕망에 민감한 아이들에게 인권이라는 이름으로 부여해 준 그 많은 시간과 방임된 자유, 그리고 성의 노출을 당연시함을 ‘정의’라고 동의하는지 말이다.


필자도 평준화 세대로 변두리의 가장 낙후되었고 지금도 낙후된 지역에서 정규 고등학교도 아니었다가 군사정권의 평준화 조치 덕분에 정규 학교가 된 고교를 졸업했다. 그런데도 각 반의 상위권 학생들은 서울대나 상위권 대학들에 입학했다. 당시 선생님들은 순번을 돌아가면서 몽둥이를 들고 밤 9시까지 학생들을 공부하도록 지도했고, 얼마만큼 공부했는지 개인 연습장까지 검사하셨는데 지금 생각해 보아도 눈물겹게 감사한 일이다. 


물론 그때에도 “공부가 제일 쉬웠어요”라며 누가 시키지 않아도 공부에 열중하던 친구들도 있었지만, 필자 같은 범인(凡人)은 호랑이 선생님들이 안 계셨다면 그나마라도 의자에 엉덩이를 붙이고 앉아 있을 위인이 절대 아님을 알고 있다. 신기한 것은 그런 고등학교 동문 중에서도 존경스러운 목회자, 신학자, 선교사부터 한국 최대 기업의 회장, 총장, 기라성 같은 분이 셀 수 없이 많이 계시다. 


이후 교육제도가 많이 변화되었지만 자율사립고, 특목고 등이 생기면서 여전히 때를 쫓는 대한민국의 장래를 짊어지는 아이들도 있고, 일반 학교에서도 치열하게 공부하는 아이들이 지금보다는 더 많았다고 생각한다. 지금은 규율(discipline)이 사라지고 아이들은 학교 밖으로 일찍 나와 인격적으로(?) 알아서(?) 공부하게 방임해 둔 세상인데, 데이터는 오히려 지역별 진학률 편차가 더 커진 것으로 드러난다. 인터넷만 검색해도 지역별 상위권 대학 진학률 편차를 보면 입이 다물어지지 않을 정도인데, 여기에서 굳이 인용해 필자까지 위화감을 재생산하지는 않겠다. 


지적하고 싶은 것은 공교롭게 진학 인구 대비 진학률 최하위 지역들과 소위 진보의 텃밭 지역의 상관계수가 지나치게 높기에 ‘인권으로 포장한 후회의 씨앗을 심어 분노의 양분을 축적하려 드는가’라는 의심이 부디 지나친 억측이기를 바란다. 그저 다음 세대가 때를 놓치지 않고 성장하게 도울 수 있는 틀을 갖출 교육감이 필요한 지역의 시민일수록 각성해서 복된 선택을 해 주시기를 기도한다.



위 글은 교회신문 <751호> 기사입니다.


박성진 집사
연세오케스트라상임단장
㈜한국M&A 대표


이 기자의 다른 뉴스 보기

    아이디 로그인

    아이디 회원가입을 하시겠습니까?
    회원가입 바로가기

    아이디/비번 찾기

    소셜 로그인

    연세광장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