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론과 훌] 이제 한반도에 전쟁은 없다?
중동과 북아프리카 혁명 어디든 일어날 수 있어

등록날짜 [ 2011-10-28 02:24:13 ]

지금부터 60여 년 전, 6.25사변이 일어났을 때 풍전등화에 놓인 대한민국을 도와 공산화를 저지한 나라의 수는 지금까지 알려진 바에 따르면 참전국 16국, 의료지원국 6국, 물자지원국 19국 등 47국이다.

하지만, 최근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연구결과로 오스트리아, 스위스, 이집트 등 13국이 추가로 확인되었다고 한다. 결국, 당시 세계 독립국 93개 중 63% 국가가 대한민국을 지원한 결과가 된다. 세계 역사를 통틀어 이러한 사례를 찾기는 어려울 것이다.

이렇게 전 세계 대부분 나라의 도움과 희생을 바탕으로 북한의 선제공격으로 말미암은 공산화 위기를 저지한 대한민국이 한반도 전체를 자유민주주의 체제로 회복하지 못하고 휴전한 지 60년이 지난 지금, 북한을 추종하는 이른바 종북(從北) 세력이 존재한다는 것은 안타까운 현실이다.

유명 항공사에서 1억 원이 넘게 연봉을 받는 기장, 국방 자원을 관리하는 병무청 공무원, 국가 방위의 근간이 되는 군 장교 등 70여 명이 인터넷 종북(從北) 사이트와 개인 홈페이지로 북한 찬양 선전물을 제작, 배포하였다가 최근 적발됐다. 이는 공산주의에 대한 분명한 비판이 없는 무책임한 교육과 이로 말미암은 국민 안보의식 약화가 가져온 결과일 것이다.

노동계와 대학가를 중심으로 반사회적 투쟁을 벌이던 종북 좌파세력은 1980년대부터 대한민국의 문화, 언론, 교육 분야에 침투하여 뿌리를 내렸다. 북한의 호전적 행동과 위협에 대해 소극적으로 대처하며 “이제 한반도에 전쟁은 없다”고 말한 전직 대통령이나, “북방한계선(NLL)은 영토선이 아니다”라고 말하여 국민과 국군장병의 적개심과 경계심을 분산한 또 다른 전직 대통령의 국가운영으로 점차 확산해 갔다.

그들은 끊임없는 무력도발과 테러를 일삼는 북한에 무조건적인 지원, 군사억제력으로 남침을 저지하는 주한미군의 철수, 새로운 군사기지 건설 반대 등을 주장하며 혈맹국인 미국을 주적으로 교육하고 반정부시위로 사회불안을 조장하고 있다.

중동과 북아프리카를 휘몰아치고 있는 재스민 혁명의 원인 중 하나가 휴대전화와 인터넷을 통한 정보화의 결과인 점을 고려하면, 스마트폰으로 날로 빨라지는 인터넷망을 타고 그들이 반국가적 종북 여론을 형성하는 것은 절대 간과할 일이 아니다.

지금 우리나라 경제가 어렵다고는 하지만, 대한민국에는 자유라는 소중한 권리가 있다. 지배계층에 반기를 든다고 하여 수십 년간 강제노동수용소에 가둬놓고 인권을 짓밟거나,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다 하여 공개 처형해 버리는 만행은 일어나지 않는다. 마약과 위조지폐, 비인도적인 불법무기 수출로 외화를 획득하여 지배계층 몇만 명의 호화로운 삶을 추구하고 이천 만 명의 인권과 자유를 박탈하며 굶겨 죽이지는 않는다.

민주적 절차 없이 여러 대에 걸친 세습독재가 이루어지지도 않는다. 타국의 해군 초계함을 야간에 몰래 침입하여 어뢰로 격침하거나 민간인이 거주하는 섬마을에 대포를 마구 쏘아 인명을 살상하지는 않는다. 관광지에 놀러 온 민간인을 군사 지역 근처에 접근한다고 조준 사격하지 않는다. 그런데도 조건 없이 그런 집단을 도와야 하고, 그들의 비위를 거스르지 않기 위하여 강경한 자세와 핵무기 포기를 주장하는 태도를 버려야 한다고 말하는 이들이 있다.
 
1975년 베트남이 무력으로 공산화되자 남베트남 장교와 정부 관리, 정치인, 지식인, 의사, 변호사, 교사, 언론인, 기술자 등 약 40만 명은 공산주의 재교육장으로 강제 수용되어 가혹한 중노동 끝에 생을 마감해야 했다. 이곳 수용소에는 공산화 이전까지 북베트남에 대한 평화협상과 물자지원을 외치며 남베트남의 국론 분열과 사회 혼란을 가져온 자들도 포함되었다.

공산주의 정권이 그들을 가둔 이유는 간단했다. ‘한번 국가를 배신하고 반체제운동을 한 자는 공산화 이후에도 또다시 그럴 수 있다!’는 것이었다.

위 글은 교회신문 <263호> 기사입니다.


    아이디 로그인

    아이디 회원가입을 하시겠습니까?
    회원가입 바로가기

    아이디/비번 찾기

    소셜 로그인

    연세광장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