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슬람이 한국을 노린다 ②
한 국가의 이슬람화 - 테러, 폭동, 전쟁

등록날짜 [ 2009-03-03 10:21:45 ]


도대체 한 국가가 이슬람화 됐을 때 어떤 현상이 나타나기에 한국의 이슬람화를 심각하게 경계하고 막아야 하는가?
2007년에 발표된 미국 CIA의 월드팩북이라는 보고서를 보면 알 수 있다. [The World Fact Book: 매년 CIA에서 발간, 세계 각 나라 지도, 국기, 인구 등 국가 정보 수록]

1단계> 한 국가에 모슬렘 인구 1% 내외일 때= 평화를 사랑하는 소수 그룹으로 위장하여 수면 밑에 잠복한다.
예) 미국(1.0%), 호주(1.5%), 캐나다(1.9%), 중국(1.2%)

2단계> 모슬렘 인구가 2-3%= 감옥에 수감된 재소자들을 집중적으로 이슬람화시켜 모슬렘으로 개종을 시도한다.
예) 덴마크(2%), 독일(3.7%), 영국(2.7%), 스페인(4%)

3단계> 모슬렘 인구가 5%를 넘어설 때= 모슬렘 인구의 비율을 높이기 위한 본격적인 전략이 시작된다.
예) 프랑스(8%), 필리핀(5%), 스웨덴(5%), 스위스(4.3%), 네덜란드(5.5%), 영국, 스페인, 네덜란드, 미국 등은 2%대에서도 테러가 일어나고 있음.

4단계> 모슬렘 인구 20%= 폭동과 소요사태가 시작되고 이슬람의 성전(聖戰 Jihad)을 일으킬 테러단을 조직한다.
예) 에티오피아(32.8%)

5단계> 모슬렘 인구가 40% 돌파= 광범위한 학살이 자행되고 상습적 테러가 발생한다. 조직화된 전시체제로 이행한다.
예) 보스니아(40%)

6단계> 모슬렘 인구가 60%를 넘어서면=전혀 구속받지 않고 기독교와 다른 종교를 박해하고 탄압한다.
인종청소가 시도되며, 샤리아를 근간으로 이슬람을 강요하고 이슬람에서 개종한 배교자(Infidel)에 대한 세금 폭탄 등의 압박이 시행된다.
예) 차드(53.1%), 레바논(59.7%)

7단계> 모슬렘 인구 80%= 국가 주도로 대규모 인종청소와 대학살이 자행된다.
예) 방글라데시(80.3%), 이집트(90%), 인도네시아(86.1%), 파키스탄(97%), 시리아(90%), 타지키스탄(90%)

8단계> 모슬렘 인구 100%= 모슬렘만의 평화의 집이 국가 최고 헌법에 우선하는 신정일치체제를 구현한다. 그러나 테러와 전쟁, 폭동과 소요가 끊임없이 계속 된다.
예) 아프가니스탄(100%), 사우디아라비아(100%), 소말리아(100%), 예멘(99,9%)

모슬렘 인구가 40-60%를 넘어서게 되면 인종청소와 대학살이 시작되고 끊임없는 테러와 전쟁, 폭동으로 인해 사회는 혼란과 공포, 불안한 상태에 빠지게 되고 만다. 이것은 머지않아 우리나라의 현실이 될 수도 있다. 한국의 이슬람화가 진행되면 우리 민족의 정치 선진화는 멀어질 것이며, 경제, 문화, 사회 모든 면에서 극도의 혼란이 올 것이고 한국 교회는 파괴되고 죽어갈 것이다.


한국의 이슬람화에 대한 대책

▲ 무엇보다 한국 교회가 하나님 앞에 엎드려 눈물로 기도해야 한다.
▲ 초교파적으로 이슬람 대책 사무실을 두고 각 총회마다 이슬람 대책 특별 위원회를 구성해야 한다.
▲ 각 총회마다 이단 대책위원회가 있지만 이슬람은 고도의 이단이므로 특별위원회를 구성해야 한다.
한국의 모든 기독교가 교단과 교파, 진보와 보수를 초월하고 힘을 합하여 이슬람에 공동 대응해야 한다.
우리는 얼마나 한국의 이슬람화에 대한 심각한 문제의식과 경각심을 갖고 있는가? 이슬람 문제의 심각성을 깨닫지 못하여 이슬람화되어버린 구라파 나라들을 보라. 얼마나 많은 인명피해와 인권유린, 정치·사회적 후퇴와 혼란을 겪고 있는가? 우리 민족과 후손이 이와 같은 비극과 고통을 당한다면 어떻게 되겠는가? 한국 교회는 이제부터라도 이슬람에 대한 심각한 경각심을 가지고 공동으로 대응해야 한다. 지금 깨어 공동의 대응을 하지 않는다면 4-5년 후에는 피눈물을 흘려야 할지도 모른다.
이것은 한국 교회만을 위한 일이 아닌 우리 민족의 역사와 우리 후손의 미래가 달린 문제다. 한국 교회가 하나 되어 이슬람의 실체를 바로 알리고 예수님의 복음과 진리를 지키자. 우리 민족의 미래를 지켜나가자.

위 글은 교회신문 <153호> 기사입니다.


    아이디 로그인

    아이디 회원가입을 하시겠습니까?
    회원가입 바로가기

    아이디/비번 찾기

    소셜 로그인

    연세광장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