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와 과학] 하나님의 창조는 완벽 그 자체
모든 생명체는 진화할 필요 없이 처음부터 완벽한 상태

등록날짜 [ 2017-11-07 21:08:37 ]


단일기원설은 일면 그럴듯하지만
유전적 독립성이 유지되고 있으니 터무니없는 주장
대기권 물질과 에너지 순환체계는
어떤 과학기술로도 모방할 수 없는
하나님의 놀라운 창조 능력 보여 줘


하나님은 여섯째 날에 가축과 기는 것과 땅의 짐승을 종류대로 창조하시고, 마지막으로 하나님의 형상을 닮은 사람을 창조하심으로 창조 사역을 완성하셨다. 6일 동안 이룬 창조 결과는 하나님께서 보시기에 매우 좋았다. 이 창조의 순서는 매우 계획적이고 체계적이며 아름답다.

하나님께서 생명체를 창조한 순서는 식물, 새와 어류, 가축, 땅에 기는 것(곤충, 파충류, 양서류 등)과 짐승, 사람이다. 그러나 진화론에서는 어류→양서류→파충류→조류→포유류→사람순으로 진화되었고, 오랜 시간 간격을 두고 돌연변이의 축적과 자연선택에 따라 진화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하나님은 모든 생명체를 어떤 진화 단계도 거칠 필요 없을 만큼 처음부터 완벽하고 성숙한 상태로 창조하셨다. 이런 완벽한 창조는 인간의 능력으로는 불가능하다. 오직 전지전능하신 창조주만 할 수 있다.

진화론자들은 자연적으로 발생한 생물(아메바)에서부터 현존하는 모든 종류의 생명체로 진화하였다고 주장한다. 이런 주장을 나무로 표현한 것을 ‘생명 나무’라고 한다. 즉, 모든 생명체는 공통 조상(나무뿌리로 표현)을 가지고 있고, 변이와 자연선택의 메커니즘(mechanism)을 통해서 갈라지면서(나뭇가지로 표현) 진화되었다고 한다. 예를 들면, 사람과 원숭이는 공통 조상을 가지고 있었는데, 그 후손 중 하나는 원숭이로, 다른 하나는 사람으로 각각 진화했다는 것이다.

‘공통 조상을 가졌다’는 주장은 일견 그럴듯해 보이지만, 조금만 생각하면 얼마나 터무니없는 주장인지 알 수 있다. 모든 생명체가 종류에 상관없이 공통 조상에서 출발했다면 유전학적으로 갈라진 후손은 서로 교배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이런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 현재 각 생명체 종류마다 유전적 독립성이 유지되고 있다는 사실은 공통 조상 주장이 얼마나 비과학적인지를 입증하고 있다.

창조주 하나님의 계획과 설계에 따른 창조의 완전성은 피조물들이 존재하는 이유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하나님은 첫째 날 빛에너지를 창조하시고, 넷째 날 해가 지고 달이 뜨고 계절이 변하는 것을 알 수 있도록 우주 공간에 해와 달과 별들을 창조하셨는데, 별들은 빛에너지를 발산한다. 셋째 날 창조된 식물들은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광합성을 하기 시작했고, 식물들은 다섯째 날 창조된 새와 여섯째 날 창조된 육지 생명체의 먹이로 사용되었다.

 “하나님이 가라사되 내가 온 지면의 씨 맺는 모든 채소와 씨가진 열매 맺는 모든 나무를 너희에게 주노니 너희 식물이 되리라 또 땅의 모든 짐승과 공중의 모든 새와 생명이 있어 땅에 기는 모든 것에게는 내가 모든 푸른 풀을 식물로 주노라 하시니 그대로 되니라”(창1:29~30).

또 한 가지 놀라운 사실은 지구에 사는 생명체들에 의한 물질과 에너지의 순환 고리다. 식물들이 광합성을 통해서 저장한 에너지를 사람과 땅의 짐승과 공중의 새들이 먹음으로써 생명에 필요한 에너지를 섭취한다.

또 육상 생물들이 죽으면 땅속 수많은 종류의 미생물이 이를 분해하여 에너지를 취하고, 배설물은 식물 생장을 돕는다. 식물은 생물의 호흡 과정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취하여 광합성 반응으로 포도당과 산소를 만들어 낸다.

21세기 첨단과학 시대에 많은 과학자는 자연에 이미 존재하는 엄청난 창조의 비밀들을 찾아내어 이를 흉내 내는 기술(자연 모방 기술)을 개발하려 하고 있다. 그러나 그렇게 개발되는 과학기술들은 전지전능하신 하나님의 놀라운 창조능력을 능가할 수 없다.


<사진설명> 지구상의 생물권·대기권에서 일어나는 물질과 에너지 순환 체계.

/한윤봉 교수
전북대학교, 세계 100대 과학자
한국창조과학회장



 

위 글은 교회신문 <550호> 기사입니다.


    아이디 로그인

    아이디 회원가입을 하시겠습니까?
    회원가입 바로가기

    아이디/비번 찾기

    소셜 로그인

    연세광장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