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론과 훌] 또 전쟁 분위기 띄우는 김정은

등록날짜 [ 2016-03-30 23:13:24 ]

김정은이 14차 핵실험 이후 대남 위협 수위를 한껏 끌어올리고 있다.

 

김정은은 지난 33일 신형 대구경 방사포 사격을 현지지도 하는 자리에서 실전 배치한 핵탄두를 언제라도 쏠 수 있게 준비하라고 지시했다. 핵탄두가 언제든 발사 가능한 상태로 실전 배치돼 있음을 드러낸 것이다. 9일에는 핵탄두로 추정되는 모형 사진도 공개했다.

 

이어 재진입 탄두의 내열 시험도 공개하고 18일에는 노동미사일을 대기권 밖으로 나갔다 들어오도록 고각으로 발사해 탄두 재진입 시험을 한 것으로 보인다. 24일에는 대출력 고체연료 로켓 엔진 분출 시험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미국의 북한전문 정보 사이트인 38노스는 로켓 화염을 분석해 북한이 다단계 로켓의 1단 부분을 실험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대형 고체로켓 기술은 대륙 간 탄도미사일(ICBM)에 필수적인 것으로 북한은 핵탄두 소형화와 경량화, 대기권 재진입 기술과 고체로켓 기술 등 ICBM 완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고 이례적으로 이를 모두 공개하고 있다. 김정은식 보여 주기 도발이다.

 

동시에 청와대 타격을 위협하고 선제적 서울 해방작전’‘서울시 불바다발언 등을 언급하며 전쟁 분위기를 띄우고 있다. 불과 한 두 달 사이에 보여 줄 것은 다 보여 주고 있다.

 

북한은 2013년에도 단시간 내에 위협 수위를 최고조로 끌어올리며 전쟁 분위기를 고조시킨 전례가 있다. 북한은 당시 3차 핵실험을 강행한 이후 35일에 최고 사령부의 정전협정 백지화 성명을 내고 전면 대결전에 진입한 상태라고 위협했다.

 

37일 안보리 제재가 통과한 다음 날에 북한은 남북 불가침 합의 선언 폐기와 판문점 연락 채널 차단을 일방적으로 발표했다. 이어 정부·정당·단체 특별성명을 통해 남북관계 전시상황 돌입도 선언했다.

 

321일에는 한미연합군사훈련을 위험한 핵전쟁 소동으로 규정하더니 326일에는 모든 야전포병군 집단들을 ‘1호 전투근무태세에 진입시키고 한반도에 핵전쟁 상황이 조성됐다는 것을 유엔 안보리에 통보한다고 밝혔다. 1호 전투근무태세 언급은 이때가 처음이었다. 312일자 노동신문은 마침내 참고 참아 왔던 멸적의 불벼락을 후련히 안길 때가 왔다며 거친 언사를 쏟아 냈다.

 

작년 8월에도 비슷한 도발 장면이 연출됐다. 당시에도 북한은 전쟁 분위기를 조성했다. 84일 경기도 파주 서부전선 비무장지대에서 북한이 매설한 목함지뢰에 한국군 병사 2명이 중상을 입는 사건이 일어났다.

 

한국군은 이에 대응해 대북 확성기 방송을 시작했다. 북한은 이를 빌미로 20일 비무장지대에서 두 차례에 걸쳐 고사포와 직사화기로 포격도발을 일으킨 뒤 22일 오후 5시 기준 48시간 시한을 최후통첩으로 못 박고 대북 심리전 방송을 중단하지 않으면 군사행동을 개시하겠다고 예고했다.

 

여기에 한국군이 전군 최고수준의 경계태세를 내리며 대응하자 북한은 기다렸다는 듯 21일 최고사령관 명령을 하달해 전선 지대에 준전시상태를 선포했다. 북한은 남북고위급 접촉이 이뤄지는 동안에도 후방 포병 전력을 전방으로 전진 배치하고 평북 철산군 기지에 있던 공기부양정 20여 척과 특수전 병력을 서해 남포해상으로 전진 배치했다.

 

또 북한 전체 잠수함 전력의 70%50여 척이 한미의 감시망을 피해 기지에서 사라졌다. 북한은 준전시상태 매뉴얼에 맞춰 3대 침투전력을 모두 전개하며 전쟁위기를 한껏 고조시켰다.

20134월과 20158월 김정은은 개성공단을 폐쇄하고 48시간 최후통첩으로 한국을 압박했지만 한국 정부의 더 강경한 대응으로 실패했다. 개성공단은 북한의 거듭된 요청으로 다시 문을 열었고 8.25 합의에서는 주체는 명시하지 않았지만 도발에 유감을 표명해야 했다. 김정은은 세 번째 전쟁 분위기를 고조시키고 있다.

 

이번에는 4차 핵실험에 따른 중국과 러시아까지 나선 국제사회의 제재에 맞서, 그리고 577차 당대회를 앞두고 전쟁 분위기를 띄우고 있다. 북한 주민은 70일 전투에 내몰리고 있다. 김정은식 대남 압박이 이번에 어떤 결말을 맺게 될지 5월 이후가 주목된다.

이웅수 집사

KBS 보도국 기자

신문발행국 논설위원

위 글은 교회신문 <473호> 기사입니다.


    아이디 로그인

    아이디 회원가입을 하시겠습니까?
    회원가입 바로가기

    아이디/비번 찾기

    소셜 로그인

    연세광장

    더 보기